안녕하세요, 코인저장소입니다.
이번에는 대중적으로 사용하는 이동평균선을 이용한 매매법을 알아보려고 합니다.
(이 글에는 개인적인 견해와 해석이 포함되어 있습니다)
이동평균선이란?
이동평균선은 말 그대로 이동의 평균을 나타낸 선입니다.
"5일 이동평균선" 이라고 한다면, 그것은 당일을 포함한 과거 5일 간의 가격의 평균선을 나타낸 것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n0Zo/btrTEKKmoPF/KkKzdHveq0YLZVtMD00xPk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xgA8F/btrTFXWq0Qx/VkeCOSXyNDRUSiMI2rlbD0/img.png)
위쪽은 4개 기간의 이동평균선, 아래쪽은 업비트의 이동평균선 설정입니다.
보시는 것처럼 이평선(이동평균선)은 평균을 낼 기간, 평균 계산에 쓰일 값을 정하는 소스(Field), 종류(Type), 그리고 오프셋(Offset)으로 구성됩니다.
위 사진에서는 기간동안의 Field(종가) 값을 평균 내어 차트 위에 그린다고 보시면 됩니다.
(Offset: 5offest 일 때, 기존에는 당일~50일전의 종가평균을 당일에 표기한 것을 -> 5일전~55일전의 종가평균을 당일에 표기하는 것으로 바꾼다고 보시면 됩니다)
저는 업비트 앱의 기본 이동평균선 종류와 같은 5, 10, 20, 60, 120일 이동평균선을 주로 이용합니다.
이동평균선은 여러가지 용도로 쓰일 수 있습니다.
1. 추세 확인
2. 크로스 매매
3. 지지와 저항선 활용
4. 매매 타점 활용
그래프와 함께 설명드리겠습니다.
12/15 BTCUSDT 5분봉 차트(& 20, 50, 100, 200 단순이동평균선)입니다.
색이 진해질 수록 긴 주기의 이동평균선입니다.
추세 확인
보시는 바와 같이 시세는 강세를 띠고 있습니다.
앞의 횡보장에서 점차 강세로 확정되면서, 이동평균선은 긴 주기가 아래에, 짧은 주기가 위에 위치하는 정배열을 보이게 됩니다.
매매 예시
위 차트의 왼쪽에서 1/3 지점에 이동평균선들이 눌려있는 모습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 먼저 20일봉이 50일봉을 골든크로스(아래에서 위로 뚫고 올라가는 것)하는 경우를 살펴보겠습니다. 단기와 중기 이동평균선에서 역배열에서 정배열로 전환하는 경우이므로, 이를 매수 신호로 보고 진입할 수 있습니다.
그러나 위 사진에서는 극 초기에 한번 골든크로스가 일어나고, 데드크로스(위에서 아래로 뚫고 내려가는 것)가 또다시 일어나면서 거래자를 혼동시킵니다. 그 다음에 매수신호로 인정할 수 있는 골든 크로스가 일어나면서 시장은 강세로 돌입합니다.
여기서 우리는 질문할 수 있습니다. "어떤 것이 진짜 신호인가?"
조금 더 시야를 넓히겠습니다.
동일한 5분봉 차트입니다. 예시로 들었던 정배열의 앞쪽으로 범위를 넓혀보았습니다.
앞선 강세장이 끝나고 시세가 하락한 뒤 시장은 횡보에 돌입합니다. 횡보장에서는 20, 50, 100일 이동평균선이 뒤엉켜있습니다. 그러나 횡보장이 200일 선과 맞닿으면서 200일 선이 지지해줍니다. 이 후 가격은 다시 올라가게 됩니다.
이처럼, 단순한 이동평균선 크로스 전략으로는 수익을 달성하기 어렵습니다. 진짜신호와 가짜신호가 섞여있기 때문입니다. 이번 예시는 200일선의 지지를 통해 상승의 초입을 발견할 수 있었지만, 200일 선이 지지한것 같았음에도 가격은 횡보를 유지하거나, 오히려 지지를 뚫고 떨어질 수도 있습니다.
결론은, 이동평균선 크로스매매 하나만을 맹신해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.
캔들형태, 거래량, 아니면 또다른 보조지표가 단순매매의 부족한 점을 보충해줄 수 있을 것입니다.
읽어주셔서 감사하고, 성공적인 투자를 기원합니다 :)
'매매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ACD란, 매매법 (1) | 2022.12.18 |
---|---|
RSI란, 매매법 (1) | 2022.12.16 |
차트 보는 법 (1) | 2022.12.14 |